경영실무 썸네일형 리스트형 회사의 임원 보수 범위 회사는 중요한 경영운영을 위해 선임된 이사와 감사 등 적정의 보수를 제공하며 선임하게됩니다. 회사가 임원 등의 보수를 결정하는데 있어 어떠한 범위와 제한이 있을까요? 먼저, 이사의 보수에 관한 부문에대해서는 우리나라 법상 상법에 어느정도 정해져 있습니다. 상법에서는 정관을 통해 이사의 보수금액을 정해야 하는데, 보수금액을 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주주총회 결의를 통해 적합한 보수를 결의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로인해 주주총회를 통해 결의받은 이사와 감사의 보수금액에 대해서는 경제적인 대가성이 포함됩니다. 보수대상에 대한 여부를 살펴볼까요? 먼저, 급료나 보수등 상여 및 임금에 대한 근로소득에 대한 급여는 보수 대상에 해당됩니다. 그리고, 이사와 관련된 퇴직금은 그 업무에 대하여 퇴임한 이사에 대해 재직중.. 더보기 교환사채의 가격결정 회사를 운영하다보면 불가피하게 사채를 발행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사채발행을 통해 일시적으로 현금흐름을 높여 경영운영을 바꾸어 놓을수도 있습니다. 실무적인상황에서 회사가 교환사채를 발행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교환사채는 별도로 법에서 정해진 규정이 모호한 부분이 있습니다. 만일 교환사채를 회사가 임의적인 가격으로 정하여 진행하여도 무방한지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상장법인에 한하여 교환가격을 결정하게 되는데요, 상장법인은 전환사채와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할 경우 그에따른 행사가격은 일정 기준을 적용한 주가 이상으로 가격을 결정하도록 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교환사채는 가격결정에 대해서 명확하게 규정한 부문이 없기때문에 교환가격을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 그부분을 제한하는 사항은 없지만, 실무적으로는 전.. 더보기 기권처리한 이사의 이사회 효력 회사는 중요한 경영운영에 대해 이사회를 걸쳐 최종결정을 내리기도하는데요, 이사회에서 발생될 수 있는 여러상황에 대해 파악해보는 시간으로 이사회에서 이사가 출석후 특정 결의안건에 대하여 기권을 요청한 경우, 회사는 이사의 결정이 찬성으로 처리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지에 대해 실무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상법에서 관련내용을 살펴보자면, 이사의 회사운영에대한 손해배상에 대한 부분이 기재되어있습니다. 이부분에서는 이사가 회사를 운영하는데 있어 고의 혹은 개인과실로 인하여 법적으로나 혹은 회사 내부적인 정관사항 등의 위반사실이 있거나 회사운영에 대한 이사의 책임을 소홀히 운영한 경우를 빗대어 표현하고있는데요, 이러한 경우에는 업무해태와 위반사실에 관하여 그 행위자체가 이사회결의에 의한 경우라고 해석되는 경.. 더보기 사외이사와 감사위원의 사임효력 지난시간에서는 임원의 사임시기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회사마다 그리고 법의 해석마다 임원의 사임효력이 약간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는데요, 이번시간에서는 사외이사와 감사위원의 사임효력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Z회사는 3조의 자산을 가지고있는 대규모 상장회사입니다. 이 회사는 사외이사를 3명, 사내이사를 3명으로 이사회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사외이사 3명을 대상으로 감사위원회를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는데요, 이중에서 사외이사 2명이 불가피한 사유로 인하여 사임을 요청하였습니다. 이경우에는 사외앗 2명에 대하여 사임 효력이 언제 발생되며, 후임자에 대해 소집시기와 선임시기에 대해 실무적으로 어떤지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사외이사가 감사위원이 아닌 Case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상법상으로는..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7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