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감사

금감원에서 제공하는 회사의 회계처리 업무에 참고하는 사례 매년 경영과 관련된 법은 개정되고 명확하게 규정되고 있지 않습니다. 특히 회사의 적정한 자금흐름과 경영실적을 표현해야하는 회계 세무 부서에서는 개정되는 법에대해 실무적으로 어떻게 적용해야할지 고민이 많습니다. 이러한 부분은 회계감사시에 큰문제에 직면하게 됩니다. 실무적으로 명확한 규정이 정해져있지 않기때문에 감사과정에서 회사와 회계법인간에 갈등을 야기하고 있습니다. 경영운영에 답은없지만 회사는 정부가 원하는 방향으로 구색을 맞추는게 통상적으로 감사에도 긍정적으로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그렇기때문에 이번시간에는 금감원에서 제공하는 기업의 회계처리와 관련된 도움을 주는 사례를 소개합니다. 금융감독원에서는 회사가 경영을 운영함에 있어 회계처리를 할때 실무적으로 고민되는 부분에 대해 용이하게 접근을 하기위해 특.. 더보기
사외이사와 감사위원의 사임효력 지난시간에서는 임원의 사임시기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회사마다 그리고 법의 해석마다 임원의 사임효력이 약간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는데요, 이번시간에서는 사외이사와 감사위원의 사임효력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Z회사는 3조의 자산을 가지고있는 대규모 상장회사입니다. 이 회사는 사외이사를 3명, 사내이사를 3명으로 이사회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사외이사 3명을 대상으로 감사위원회를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는데요, 이중에서 사외이사 2명이 불가피한 사유로 인하여 사임을 요청하였습니다. 이경우에는 사외앗 2명에 대하여 사임 효력이 언제 발생되며, 후임자에 대해 소집시기와 선임시기에 대해 실무적으로 어떤지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사외이사가 감사위원이 아닌 Case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상법상으로는.. 더보기
감사보수한도 초과분에 대한 실무쟁점 주식회사인 B회사가 이전 주주총회에서 감사보수한도를 10억으로 결의하여 승인을 받았습니다. 그런데, 당해년도 감사에게 지급된 보수가 10억을 초과한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이로인해 기존에 주주총회로부터 승인받았던 감사보수한도는 무효가 되는지에 대해 파악해보겠습니다. 상법에서는 이사와 감사에게 회사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특정한 문제가 없는한 이사와 감사의 보수를 회사는 정관과 주주총회 결의를 통해 정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알아볼 B회사의 감사보수한도 초과분에 대해 결의가 무효가 되는지에 대해 중점을 둬야 할 텐데요, 주주총회에서는 해당 안건에 결의를 취소하기 위해서는 주주총회를 소집절차와 결의내용에 대해 문제가 발생된 경우에만 이행할 수 있도록 정하고 있습니다. 그렇기때문에 실제로 주주총.. 더보기
감사위원회 결원시 충원방법 상장회사는 조건에 따라 감사 혹은 감사위원회를 운영해야 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만약 특정회사가 감사위원회 위원이 2명인 상태로 결원인 경우에는 주주총회를 통해 감사위원회를 선임할 수 있을까요? 아니면 기존 감사위원으로 운영을 할 수 밖에 없을까요? 우리나라 상법에 따르면 회사가 규정하는 정관에 정해진 대로 이사회를 통해 위원회를 설치할 수 있다고 규정되어 있습니다. 법령과 정관에서 정해진 이사의 인원을 결한 경우에는 해당 이사가 임기만료 혹은 사임으로 인해 퇴임된 이사는 새로 선임된 이사를 취임될 때까지 이사에 대한 권리와 의무를 가질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감사위원회가 결원되는 경우에도 기존 감사위원이 권리의무를 가지는지에 대해서는 감사위원회도 이사회 위원회의 동일한 소속으로 있기 때문에 이사 .. 더보기